Microsoft 이야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운영체제 2

it-konwshare 2025. 3. 31. 22:00

마이크로소프트는 1980년대 초반, MS-DOS 통해 IBM PC 운영체제 시장을 장악했지만,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운영체제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1985  번째 윈도우 버전을 발표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며 2000 이전까지 운영체제 시장을 지배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발표에서는 1985 윈도우 1.0 출시부터 2000 윈도우 2000 발표 이전까지의 윈도우 운영체제 역사를 살펴보겠다.

 

1. 윈도우의 탄생: Windows 1.0 2.0 (1985~1987)

1980년대 , 애플은 Macintosh 운영체제를 통해 GUI 환경을 제공하면서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떠올랐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도 GUI 기반 운영체제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고, 1985 11 Windows 1.0 출시했다.

Windows 1.0 (1985)

  • 기존 MS-DOS 위에서 동작하는 GUI 확장 프로그램
  • 마우스를 활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당시 마우스 사용이 대중적이지 않았음)
  •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할  있었으나, 멀티태스킹 기능 제한적
  • 애플과의 GUI 관련 법적 문제로 인해 창을 겹쳐서 배치하는 기능 없음
  • 주요 내장 프로그램: 계산기, 시계, 메모장, 그림판(Paint), MS-DOS 실행기

Windows 2.0 (1987)

  • 창을 겹쳐 배치하는 기능 추가 (이로 인해 애플과 법적 분쟁 발생)
  • 키보드 단축키 지원 강화
  • CPU 성능 향상에 맞춰  빠르고 안정적인 GUI 제공
  • 이후 Windows 2.1 출시되며, 386 프로세서 전용 버전(Windows/386)  등장

Windows 1.0 2.0 기능이 제한적이었고, 많은 사용자들이 여전히 MS-DOS 환경을 선호했기 때문에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그러나 GUI 운영체제의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첫걸음이었다.

 

2. 대중화의 시작: Windows 3.x 시리즈 (1990~1993)

1990,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3.0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운영체제 시장을 선도하기 시작했다.

Windows 3.0 (1990) & Windows 3.1 (1992)

  • 이전 버전보다 훨씬 향상된 그래픽 환경 (아이콘,  디자인 개선)
  •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지원   많은 프로그램 실행 가능
  • 16비트 애플리케이션 지원  멀티태스킹 기능 강화
  • Windows 3.1에서는 TrueType 폰트 지원  문서 작업  그래픽 작업 강화
  • 마인스위퍼, 솔리테어(Solitaire)  게임 추가

Windows 3.x  세계적으로 1,000  이상 판매되었으며, 기업 환경에서도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Windows for Workgroups 3.11(1993)**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해 기업 환경에서 필수적인 운영체제가 되었다.

(처음 경험을 했을 때는 그거 '지뢰 찾기'와 마우스의 모양 바꾸기만 했는데.......)

 

3. 운영체제의 진화: Windows 95 Windows 98 (1995~1999)

Windows 95 (1995)

1995 출시된 Windows 95 윈도우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  하나였다.

  • 완전한 GUI 운영체제   이상 MS-DOS 의존하지 않음
  • 시작 버튼(Start) 작업 표시줄(Taskbar) 도입  현재까지 이어지는 UI 기본 구조 확립
  • 플러그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  하드웨어 드라이버 자동 인식
  • 32비트 아키텍처 지원  더욱 안정적인 멀티태스킹 가능
  • 출시  4 만에 100  판매,  4,000  이상 판매

Windows 95 PC 운영체제의 표준을 확립했으며,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Windows 98 (1998)

Windows 95 성공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개선한 Windows 98 출시했다.

  • USB 지원 강화  USB 장치 자동 인식  플러그  플레이 개선
  •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기본 내장   브라우징 환경 개선
  • FAT32 파일 시스템 지원    용량의 하드디스크 활용 가능

Windows 98 사용자 친화적인 기능이 많아 가정용 PC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Windows 98 SE(Second Edition)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네트워크 기능과 인터넷 안정성이 더욱 강화되었다.

(게임을 하기 위해 어떻게든 설치를 해보려고 하였던 Windows....)

 

게임을 위해 Win98을 설치했지만 정상 동작은 하지않았.....

 

4. 기업용 운영체제의 발전: Windows NT 시리즈 (1993~2000)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가정용이 아닌 기업 환경에 적합한 고성능 운영체제도 개발하고 있었다.

Windows NT (1993 출시)

  • 기존 Windows 3.x와는 완전히 다른 NT 커널(New Technology Kernel) 기반
  • 강력한 보안 기능  멀티유저 지원
  • 서버  기업 환경에 적합한 구조
  • 이후 Windows NT 4.0(1996) 출시되면서 Windows 95 유사한 GUI 환경 제공

Windows NT 이후 Windows 2000으로 발전하며, 기업  서버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Windows NT를 사용하는 곳을 찾기 힘들었고, 2000년대 쯤 MS의 웹서버의 OS는 Windows가 아니였다는 풍문을 들었다)

 

2000 이전까지 윈도우의 발전

1985 Windows 1.0 등장한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계속해서 GUI 환경을 개선하며 운영체제 시장을 선도해 왔다. 특히, Windows 3.x에서 대중화가 시작되었고, Windows 95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초를 완성했다. 이후 Windows 98 Windows NT 통해 가정용  기업용 시장 모두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2000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2000 Windows XP 통해 더욱 강력한 운영체제를 선보이게 되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다음 발표에서는 2000 이후 윈도우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겠다.